나는 행복한 사람 입니다.
“걸을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설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들을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말할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볼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살 수만 있다면,
더 큰 복은 바라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지금 그렇게 기도를 합니다.
놀랍게도 누군가의 간절한 소원을
나는 다 이루고 살았습니다.
놀랍게도 누군가가
간절히 기다리는 기적이
내게는 날마다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부자 되지 못해도,
빼어난 외모 아니어도,
지혜롭지 못해도,
내 삶에 날마다 감사 하겠습니다.
날마다 누군가의 소원을 이루고,
날마다 기적이 일어나는 나의 하루를,
나의 삶을 사랑하겠습니다.
사랑합니다.
내 삶,
내 인생,
나·······.
어떻게 해야 행복해지는지
고민하지 않겠습니다.
내가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지
날마다 깨닫겠습니다. !!
나의 하루는 기적입니다!
나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감동적인 기도로 행복해 하시고,
은혜의 기도로 부흥의 기적을'창출
하시도록 축복 합니다!
- <언더우드 의 기도 중에서> -
행복하고 싶다면 행복한 사람 곁으로 가라
우리의 환경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게 뭐냐면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입니다
누가 옆에 있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인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
맹모삼천지교도 그런 가르침의 하나이고요
근묵자흑, 까만데 있으면 까맣게 된다
또는 근주자적, 붉은 것에 있으면
너도 붉게 된다는 말 역시 마찬가지죠
2011년에 미국에 있는 두 명의 학자가
아주 재밌는 책을 써 냈습니다
본인들이 해 왔던 연구들을 종합해서
행복도 전염된다는 책이 나왔는데요
우리의 소셜 네트워크, 우리가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도 훨씬 더 놀랍습니다
내가 생각하고 내가 느끼는 내 생각이나 내 감정을
어느 정도로 영향을 주느냐?
내 친구의 친구의 친구가 영향을 줄 수 있다
3단계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부제에서 얘기를 합니다
한 지역 공동체 사람들의 이 소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패턴이 눈에 뜁니다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모여 있습니다
행복한 사람들은 행복한 사람들끼리 모여 있습니다
두 번째 패턴은 뭐냐?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 주변에 사람이 없다는 겁니다
이 연구로 밝혀낸 게 뭐냐?
내 친구가 행복하게 되면
내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약 15% 증가한다
내 친구의 친구가 행복하게 되면
내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약 10% 증가한다
내 친구의 친구의 친구가 행복하게 되면
내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약 6% 증가한다
네 단계쯤 가면 그때서야 영향력이 없어진다고
얘기를 해요
그만큼 우리 주변에 누가 있느냐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행복하게 삶을 살고 싶다
그러면 가장 중요한게 뭐냐?
행복한 사람 옆에 있는 겁니다
좋은 사람들과 보내는 시간을 늘리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이 없어요
불행하고 우울하고 싶으면 우울한 사람과
시간을 장시간 보내시면 돼요
그러면 금방 우울해지고 금방 냉소적이 됩니다
내가 행복하면 내 친구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15%가 늘어나는 겁니다
그리고 내 친구의 친구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10%가 늘어난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소위 행복에 대해서
어떻게 보면 빚을 지고 있는 겁니다
주변 사람들이 행복하면 나에게 좋지만
내가 그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전염시켜 주는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내가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은 나한테 좋은 것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한테도 좋다는 겁니다
"성공하고 싶다면 성공자 곁으로 가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최 인철 글
'삶에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다 바람 같은거야 (0) | 2017.05.08 |
---|---|
내등에 짐 (0) | 2017.04.06 |
삶의 작은 쉼 (0) | 2017.02.02 |
회심 (0) | 2017.01.06 |
사람이 산다는 것이 (0) | 2016.12.02 |